해움터 전경
할머니와 할아버지를 어떻게 만나갈지 고민이 많다고 합니다. 해움터라는 공간 자체가 어르신들에게는 낯선 곳이었기 때문입니다. 어르신들에게 맞는 공간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편하게 쉴 수 있으면서도 소일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찻집’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기존에 기획해 진행하던 할머니 이야기책 만들기, 어르신 동네 신문 등의 활동을 찻집과 연계해 활용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도 나왔습니다.
해움터 지기 임선아 선생님
지역 주민들과 어르신들을 만나는 일이 쉽지 않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역 단체들과 연대하며, 다양한 사업을 전개해 어르신들과 지역 주민들을 만날 기회를 자주 마련하려 하고 있습니다. 현재 해움터는 마을의 경비실과 같은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바자회, 어린이 강좌, 영화 보기 등을 상시 진행했습니다. 지하에는 마을 서재를 만들어 열린 공간을 활용하고, 1층 사무실은 택배를 맡아주거나, 팩스를 보내주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1년 반 동안 이런 방식으로 주민들을 만나며 주민들을 위한 열린 공간을 꿈꿔왔습니다.
해움터 내부. 버려진 가구를 재활용해 만든 공간이 이색적이다
'협동복지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꿈꾸고 싶은 청년들이 만드는 '청년연대은행(준)' (0) | 2014.09.24 |
---|---|
행복한 음식을 배달하는, 행복밥차 (0) | 2014.09.24 |
성대골 어린이 도서관 - 성대골 발전소 워크샵 (0) | 2014.09.24 |
밥상마녀 요리교실 - 넌 사먹니? 난 직접 해 먹는다! (0) | 2014.09.24 |
육아놀이터 '다행', 교육강좌 개최 (0) | 2014.09.24 |